Search
👥

소규모 콘텐츠 팀을 위한 교훈: 2인 팀과 약 7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뉴스레터로 콘텐츠 전략을 관리하는 방법

1. 연사소개

에밀리 크레이머(Emily Kramer)는 B2B 스타트업 마케팅 분야의 선도적인 목소리입니다. 그녀는 실용적이면서도 주관이 뚜렷한 접근 방식과 명확한 프레임워크로 알려져 있습니다. 에밀리는 이전에 아사나(Asana), 카르타(Carta), 아스트로(Astro, 슬랙에 인수됨), 그리고 티켓플라이(Ticketfly)에서 마케팅 팀을 처음부터 이끌고 구축했으며, 4번이나 첫 번째(ish) 마케터로서 초고속 성장과 대규모 확장 과정에서 팀을 이끌었습니다. MKT1 뉴스레터를 시작한 이후, 에밀리는 링크드인과 서브스택(Substack)에서 수백만 조회수를 기록한 콘텐츠를 제작했고, 강의를 통해 수천 명의 마케터를 가르쳤으며, 100개 이상의 기업에 자문하고 투자했습니다.

2. 세션 요약

MKT1 뉴스레터와 Dear Marketers 팟캐스트에서 에밀리 크레이머(Emily Kramer)의 콘텐츠 전략과 시스템의 비하인드를 살펴보세요. 그녀는 차별화되고 임팩트 있는 콘텐츠를 만들기 위한 핵심 원칙, 콘텐츠 캘린더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방법, 그리고 번아웃 없이 일관성을 유지하는 방법을 공유할 것입니다. 그런 다음, 아사나(Asana)와 카르타(Carta)에서 마케팅을 이끈 경험과 50개 이상의 B2B 스타트업을 자문한 경험을 바탕으로, 여러분의 스타트업에서 압도적인 임팩트를 창출하기 위해 동일한 원칙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설명할 것입니다.

3. 세션 인사이트

Emily Kramer가 자신의 뉴스레터 Market One(MKT1)을 통해 4년간 7만 명의 구독자를 확보하고 6자리 수익을 달성한 경험을 바탕으로 소규모 팀의 콘텐츠 전략에 대해 발표했다. 그녀는 스타트업 마케터이자 투자자로서 35개 회사에 투자한 경험과 Asana, Carta 등에서의 마케팅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AI 시대의 마케팅 딜레마

AI가 콘텐츠 제작을 쉽게 만들어 더 적은 인력으로 마케팅팀 운영이 가능해졌지만, 동시에 차별화는 더욱 어려워졌다. 코로나 이후 성장보다 효율성을 중시하는 환경에서 마케팅팀 규모는 축소되고 있으나, AI로 인해 모든 콘텐츠가 평준화되어 독창성 확보가 핵심 과제가 되었다.

RAM(Random Acts of Marketing) 탈피 전략

성공적인 콘텐츠 전략의 핵심은 무작위적 마케팅 활동을 피하는 것이다. "멋진 광고판을 봤으니 우리도 해보자", "엔지니어링 블로그를 시작해야 한다" 같은 요청들은 체크박스를 채우는 활동일 뿐이다. 대신 콘텐츠를 제품처럼 취급해야 한다.

콘텐츠를 제품으로 접근하는 방법

문제 해결 중심: Jobs-to-be-Done 프레임워크처럼 특정 오디언스의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콘텐츠 제작
로드맵 기반 계획: 의도적인 우선순위 설정과 계획을 통해 무작위 요청에 대한 방어막 구축
실험과 확장: 헤드라인 테스트뿐만 아니라 새로운 포맷과 콘텐츠 유형에 대한 지속적 실험

핵심 가이드라인

핵심 원칙

매번 가치 추가: 새로운 것을 기여할 수 없다면 제작하지 않기
차별화: 회사의 고유한 강점 활용 (Emily의 경우 다이어그램과 프레임워크 제작 능력)
관련성 유지: 고객과의 지속적 접촉을 통한 시장 동향 파악
실패 수용: VC 투자처럼 포트폴리오 전략으로 접근, 모든 콘텐츠가 성공할 필요 없음
Fuel과 Engine 균형: 콘텐츠 제작(Fuel)과 배포(Engine)의 조화

바닐라 콘텐츠는 안 돼!

바닐라 콘텐츠란 창의적이지 않은, 지루하고 흔한 콘텐츠를 의미한다. 대부분의 기업 콘텐츠가 지루한 이유는 너무 많은 사람이 검토 과정에 참여하여 최소공통분모로 축소되기 때문이다. AI도 마찬가지로 평균적인 결과를 생성한다. 해결책은 명확한 관점을 가진 단일 의사결정자를 두는 것이다.

콘텐츠 전략 프레임워크

Story Stack

제품 스토리만이 아닌 다층적 스토리 구조가 필요하다. 오디언스의 문제, 업계 트렌드, 회사 문화 등 다양한 관점에서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Perceptions (인식)

오디언스가 브랜드에 대해 말하기를 원하는 핵심 내러티브를 정의한다. Emily의 경우:
"MKT1은 스타트업 마케팅에서 가장 신뢰받는 소스"
"마케팅은 제품과 동등한 전략적 기능"
"MKT1은 최신 트렌드와 미래 동향을 배우는 곳"

Content Pillars

회사 스토리의 챕터 역할을 하는 주제들로, 지속적으로 다룰 핵심 토픽들이다.

Content IP

반복 가능하고 소유 가능한 아이디어들이다. 프레임워크, 독점 데이터, 새로운 벤치마크 등이 포함되며, 브랜드와 연관성을 구축하는 핵심 요소다.

실행 전략

다양한 콘텐츠 형태

블로그 포스트에 국한되지 않고 템플릿, 도구, 데이터베이스 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제작한다. 코딩 없이도 노코드 도구로 창의적인 콘텐츠 제작이 가능하다.

월간 테마 로드맵 (유연하게!)

복잡한 로드맵 대신 월별 주요 테마를 설정하고, 콘텐츠 필러와 인식 목표를 균형있게 배치한다. 유연성을 유지하되 방향성을 제시한다.

콘텐츠 활용 극대화

기존 콘텐츠 재활용: 새로운 아이디어보다 기존 우수 콘텐츠의 다양한 활용 방안 모색
소셜 캘린더 사전 설정: 몇 달 앞서 소셜 미디어 포스트 일정을 잡아 과거 콘텐츠 재활용 리마인더 설정
Pre-posting: 뉴스레터 작성 전 LinkedIn에서 주제를 테스트하고 댓글을 수집하여 ChatGPT에 입력, 아이디어 확장에 활용

핵심 실행 과제

콘텐츠 전략 성공을 위한 즉시 실행 가능한 과제들:
회사와 개인의 인식(Perceptions)과 필러(Pillars) 정의
오디언스 문제점 목록 작성
월간 테마 기반 로드맵 구축
지속적인 고품질 콘텐츠 제작을 통한 차별화
Emily는 일관된 고품질 콘텐츠만으로도 95%의 경쟁자를 앞설 수 있다고 강조하며, 체계적인 계획과 실행이 소규모 팀도 큰 임팩트를 만들 수 있는 핵심이라고 결론지었다.